서 론
방 법
1. 침자 수기법 교육 프로그램(AMES)의 설계 및 개발
1) 침자 수기법 교육 프로그램 기능의 구성
① 정현파(sine wave)의 빈도(frequency), 크기(amplitude), 전후 비율(ratio)을 조절함으로써 학습목표 수 기법(intended movement)을 구현한다. 따라서 수기 법의 속도를 반영하고, 움직임의 폭, 움직임 패턴들을 임의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형태 의 염전과 제삽 - 서질의 平補平瀉法, 補法, 瀉法) 재 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.
② 학습목표 수기법을 oscillograph 형태로 제시하도록 한다. 즉 수기법의 움직임을 파형으로 표현하여 움직 이는 애니메이션 형태로 제시하며 점차 다가오는 파 형(학습목표 수기법의 움직임)에 맞추어 교육 대상자 가 침자 수기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.
③ Acusensor2(Stromatec, Inc, VT, USA)를 통해 측 정된 교육대상자가 수행한 수기법의 움직임을 AMES 화면에 학습목표 수기법과 같은 oscillograph 형태로 제공하여, 학습목표의 움직임과 자신의 움직임과의 오차를 최소화해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.
④ 교육대상자가 수기법 수행능력을 알 수 있도록 교육 대상자에게 수행된 수기법과 학습목표 수기법 간의 오차를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였다. AMES 에서는 이를 위해 수행된 수기법의 미가공 데이터에 infinite impulse response(IIR) Butterworth 필터 를 적용하여 0.2 Hz보다 낮고 5 Hz보다 높은 주파수 의 정보들을 필터링한 후 학습목표 수기법과의 평균 제곱근오차(root mean squared error)를 계산하였고 이 오차를 10에서 뺀 수치를 제공하여 10점 만점의 수 치로 피험자들에게 제공하도록 하였다.
⑤ 수행한 수기법을 리플레이 해주는 기능을 제공하여 교육대상자가 자신이 수행한 수기법을 다시 재확인하 여 다음 훈련 시 반영하는 기능을 제공하였다.
2) AMES의 개발 방식
2. 침자 수기법 교육 시뮬레이션 수행방법
1) 침자 수기법 교육 대상 및 교육재료
2) 침자 수기법 교육프로그램 절차 및 구성
3) 침자 수기법 교육프로그램 결과 분석
결 과
1. 침자 수기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결과
① 입력포트 선택 및 피험자 정보 입력 모듈에서는 컴퓨 터에 연결된 여러 입력포트들 중에서 Acusensor2 장 비의 USB 입력포트를 선택하고, 추후 훈련결과를 저 장할 파일이름에 반영하기 위하여 피험자 이름을 입 력하는 입력란으로 구성되어 있어서, 훈련시작 이전 에 이용하여야 할 부분에 해당한다(Fig. 3a).
② 침자 수기법 디스플레이 화면 모듈은 PyQWT의 CurvePlot 모듈을 사용하여 구현이 되었으며 학습의 목표가 되는 수기법, 대상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수 기법을 각각 또는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구성 되어 있으며, 훈련 후의 수행결과를 다시 출력할 수 도 있게 구현하였다(Fig. 3b).
③ 침자 수기법 평가 결과 출력 모듈은 PyQWT의 ThermoGraph 모듈을 사용하여 구현었으며, 대상자의 수 기법 수행이 제시된 학습목표 수기법과 얼마나 유사 하게 수행되었는지 오차를 계산하여 10점 만점으로 하는 점수로 표현하여 제시하는 모듈이다(Fig. 3c).
④ 기타 텍스트 정보 출력 모듈은 훈련시작 및 종료시점 을 알려주거나 침자 수기법 평가 결과의 수치를 텍스 트로 알려주는 등 텍스트 정보를 표현하는 모듈이다 (Fig. 3d).